수직농장

수직농장 LED 광원의 파장별 식물 성장 최적화 연구

dreaming-note 2025. 7. 23. 15:27

도시농업이 발전하면서, 실내 수직농장에서는 자연광을 대체할 인공광원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창문이 없는 공간이나, 계절에 따라 일조량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LED 생장등이 작물 생존과 생육의 유일한 에너지 공급원이 되기도 합니다. 이때 가장 중요한 기술 요소는 바로 “어떤 파장의 빛을 어떻게 비춰주는가”입니다.

수직농장 LED 파장별 식물 성장

 

많은 분들이 생장등을 고를 때 단순히 ‘밝기’, ‘전력소비량’, ‘전구색’만을 고려하는 경우가 많지만, 식물의 성장은 빛의 ‘밝기’보다 ‘파장(빛의 색)’에 더 큰 영향을 받습니다. 식물은 광합성을 위해 특정 파장의 빛을 더 효율적으로 흡수하며, 각 성장 단계마다 필요한 파장이 다릅니다. 실제로 여러 실험에서는 빨간색(660nm), 파란색(450nm), 백색(전 파장) LED의 조합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성장 속도, 잎 면적, 뿌리 성장, 개화율 등이 달라진다는 사실이 입증되었습니다. 그만큼 수직농장 운영에 있어 LED 파장은 생산성과 직결되는 핵심 변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LED 광원의 파장별 식물 반응 메커니즘, 성장 단계별 최적 파장 조합, 실전 적용 방법, 고효율 LED 선택 전략 등 수직농장을 운영하는 모든 분들이 알아야 할 핵심 내용을 과학적 근거와 함께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식물이 빛을 인식하는 방식 – 파장에 따른 생리 반응

식물은 빛을 단순히 '밝다' 또는 '어둡다'로 인식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식물은 빛의 스펙트럼, 즉 파장을 인식하고, 그에 따라 광합성 효율생장 호르몬 분비, 꽃 개화 등의 반응을 달리하게 됩니다. 식물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빛의 범위는 400~700nm로, 이 범위를 PAR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또는 광합성 유효광이라 부릅니다.

주요 파장별 식물의 반응

파장대 (nm)빛의 색식물 반응
400~450 보라/파랑 광합성 촉진, 잎 성장, 줄기 짧아짐
500~600 초록/노랑 대부분 반사됨, 광합성에는 큰 영향 없음
600~660 빨강 개화 촉진, 열매 형성, 줄기 신장
730 근적외선 (Far-red) 일장 반응 조절, 개화 유도
300~400 / 700~800 UV/IR 광합성에는 영향 적음, 단 병해 예방이나 스트레스 반응 유도 가능
 

파란색 빛은 식물의 초기 생장과 잎 형성에 큰 역할을 하며, 빨간색 빛은 개화와 열매 성장을 촉진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생장 단계에 따라 다른 파장의 비율을 조절하는 전략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생장 단계별 LED 파장 조합 최적화 전략

식물의 생장 단계는 크게 발아기 → 생장기 → 개화기(또는 수확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 단계에서 요구하는 빛의 파장은 다르며, 수직농장에서 LED 조명을 조절할 수 있다면 단계별로 빛의 조성을 맞추는 것만으로도 생육 품질과 수확량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단계별 권장 파장 조합

생장 단계파란색 비율빨간색 비율설명
발아기 70% 이상 30% 이하 잎 성장 중심, 뿌리 발달 촉진
생장기 50% 50% 균형 잡힌 광합성 유도
개화기/수확기 30% 이하 70% 이상 개화와 열매 형성 촉진
 

예를 들어 상추, 청경채, 시금치 등 엽채류는 파란색 빛에 더 잘 반응하며, 짧고 잎이 넓은 생장을 위해 파란색 파장을 많이 포함한 조명이 적합합니다. 반면 토마토, 고추, 딸기처럼 열매를 수확하는 작물은 개화와 착과에 관여하는 빨간색 파장을 충분히 제공해야 생산성이 높아집니다. 또한 근적외선(Far-red) 파장을 소량 혼합하면 개화 시기를 앞당기거나 생장 호르몬 분비를 유도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UV-A(365~400nm)를 극소량 투입해 병해충 저항성을 높이는 실험적 적용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실전 LED 조명 시스템 구성법 – 농장에 맞는 광원 선택 가이드

수직농장에 설치할 LED 생장등을 고를 때는 단순히 ‘LED 생장등’이라는 문구만 보고 선택하지 마시고, 파장 정보(Spectrum Data)를 반드시 확인하셔야 합니다. 광원의 품질과 적절성은 작물의 성장 속도, 건강, 수확률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LED 광원 선택 시 고려사항

항목설명
파장 분포표 제공 여부 파란/빨간/백색 비율 명확히 제시되는 제품 선택
PPF/PPFD 수치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 광합성 유효광량
광효율(lm/W가 아닌 µmol/J 단위) 식물이 얼마나 광합성에 쓸 수 있는지를 측정
설치 높이 조절 가능 여부 작물 크기에 따라 조명 높이 조절 필요
방열/수명 성능 LED는 고온에 약하므로 방열판이 충분한 제품이 좋음
 

실전에서 사용하는 파장 조합 예시

  • 엽채류 전용 LED: 파란색 450nm 중심 + 백색광
  • 개화 작물용 LED: 빨간색 660nm 중심 + 소량의 Far-red 730nm
  • 풀스펙트럼 LED: 400~700nm 고르게 분포된 백색 LED – 초기에는 편리하지만 조절이 어려움

맞춤형 LED 바를 직접 제작하거나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LED 모듈을 선택하면, 작물과 공간 조건에 맞는 이상적인 조명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LED 파장 제어 기술의 수익화와 미래 활용 전략

파장별 최적화 기술은 단순히 생장등 선택에 그치지 않고, 농장 운영 효율과 수익성에 직결되는 스마트팜 핵심 기술로 연결됩니다. 다양한 방식으로 확장과 수익화를 이룰 수 있습니다.

수직농장 조명 기술의 확장성과 수익화 포인트

  1. 자동 조명 제어 시스템 구축
    • 타이머 기반이 아닌 생장 단계에 따라 파장 조합을 바꾸는 시스템 구축 가능
    • 라즈베리파이 + PWM 컨트롤러 + RGB LED로 직접 제어 가능
  2. 고수익 작물 재배에 활용
    • 파장에 민감한 허브, 딸기, 식용꽃 등을 LED로 정밀 제어 시
    • 품질 높은 농산물 생산 → 프리미엄 판매 가능
  3. 농업 교육 콘텐츠 제작
    • LED 파장 실험 키트, 작물 성장 비교 실습 등
    • 유튜브 영상, 블로그 포스팅 콘텐츠로 활용 → 애드센스 수익화 가능
  4. LED 조명 컨설팅 및 판매
    • 맞춤형 LED 조명 배치 및 파장 설계 컨설팅
    • 직접 소형 조명 키트 제작 → 스마트팜 스타트업 아이템 가능

 

빛은 식물의 언어이며, 파장은 그 언어의 문법입니다. 수직농장에서 식물과 대화하려면, 먼저 빛의 파장을 이해해야 합니다. 이제는 단순히 ‘밝은 빛’이 아닌, ‘맞는 파장’을 선택할 때입니다. 파장별 최적화를 통해, 여러분의 수직농장은 더 빠르게, 더 튼튼하게, 더 풍성하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