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1 2

고수익을 위한 프리미엄 허브 특화 수직농장 운영 전략 (예: 라벤더, 타임)

최근 수직농장이 다양한 형태로 확산되면서, 단순한 잎채소 생산을 넘어서는 프리미엄 작물로의 특화 전략이 중요한 흐름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분야는 허브류(Herbs)입니다. 허브는 요리뿐 아니라 화장품, 아로마, 건강식품, 애견제품, 방향제, 차(tea) 등 다양한 산업군에 동시에 납품할 수 있는 고수익 작물군입니다. 그중에서도 라벤더, 타임, 로즈마리, 레몬밤, 스피어민트와 같은 프리미엄 허브는 일반 상추나 루꼴라보다 수확 주기는 느리지만 단가가 높고 부가가치가 높은 형태로 가공되기 쉬운 작물입니다. 또한, 상대적으로 병해충에 강하고, 생육 환경을 잘 조절하면 연중 고품질의 허브 생산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수직농장에 적합한 대상입니다. 문제는 허브 재배가 잎채소보다 조금 더 까다로운 ..

수직농장 2025.07.31

중소형 수직농장의 탄소 배출량 정량 분석과 감축 방법

최근 몇 년 사이 수직농장은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지속 가능한 농업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도심 실내 공간을 활용해 계절이나 날씨에 관계없이 농산물을 생산하고, 물과 농약 사용량을 크게 줄인다는 점에서 매우 환경 친화적인 기술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친환경 이미지를 절대적으로 믿기에는 한 가지 간과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수직농장 운영에 따른 탄소 배출량입니다. 많은 중소형 수직농장 운영자들이 “자연을 보호하는 농장을 운영 중”이라고 자부하지만, 실제로는 전력 사용에 의한 간접 탄소 배출, 장비 제조 시의 탄소 발생, 자재 운송 등에서 발생하는 전체적인 탄소발자국을 측정한 사례는 거의 없습니다. 특히, 규모가 작을수록 효율성이 떨어지고, 에너지 절감 설계가 부족하여 의외로 높은 탄소..

수직농장 2025.07.31